Regarding the Moon as an Object (or a Photographic Subject)

 

Kiwon Lee (Art Critic)

 

The Moon is a satellite of Earth and the closest astronomical object to the planet. The Moon’s diameter is approximately 3,500 kilometers, which is 1/4 of that of the earth and 1/400 of that of the Sun. Seen through the scale of the universe, the Moon is a very small satellite, which makes it meaningless to compare its size to that of the Sun. However, (at least in the sentimental terms,) the Moon exists in our everyday scenery as something that is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e Sun. Let’s be reminded of the fact that as the sunrise and sunset have become the standards of measuring a ‘day,’ the waxing and waning of the Moon also function as a certain standard.

 

The Sun and the Moon came to possess the same status despite the huge difference in the scale of their mass. Wouldn’t the reason be the fact that both look almost the same to our eyes in terms of scale? The size of the Sun is big enough to defy any comparison to that of the Moon, but it looks much smaller than its real size since it is far away from the Earth. On the other hand, the Moon does not seem to be that small to naked eyes since it is far closer to the Earth than the Sun although it is smaller than the Earth. In fact, the perceived diameters of the Sun and Moon (as astronomical objects seen from the Earth) are similar. Thanks to this fact, we can observe the total eclipse of the Sun. In fact, the total eclipse of the Sun is not different from blocking the Sun from one’s view with his palm. However, what we see with our eyes often precedes what really exists.

 

In the exhibition Grey Ground, Jihyun Im presents 70 Grey Moons, a series of paintings depicting the Moon. The series was initiated from the 72 photos of the full moon that the artist had captured on her way home from her studio in one night in March this year. The photos she took are not refined photographic images, and they are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e image of the Moon taken by any camera on a smartphone. Since the Moon is a photographic subject brighter than one might think, one has to increase the aperture of the lens or use a fast shutter spe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perture and shutter speed in the default camera application on the smartphone. Even if one adjusts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to be set in low exposure, it is almost impossible to capture the image of the Moon as one might have seen on the news or in the encyclopedia. For these reasons, the Moon in the 72 photos made by the artist is put in the state of ‘white out’ due to over-exposure. The clouds around the Moon are also depicted in forms that resemble certain blots or patterns. The photos mostly do not function as ‘a tool to depict the Moon.’ In fact, if the artist really wanted to depict the Moon, it might have been much easier not to refer to the photos that she had taken but to a photo of the Moon in an encyclopedia. (In addition, both the moons are essentially the same object.) Nevertheless, the artist cut the photos she had taken, leaving the part depicting the Moon at the center. She changed the size of the images to fit eight photos into one sheet of A4-sized paper, each of them with the width of 7 centimeters. She then printed them with a regular copy machine used at offices. In this way, the link between the Moon in her photos and the Moon in reality becomes looser. The artist put up the photos, which almost seemed to have lost their function as a reference due to their shrunk size and lowered resolution, on her easel and drew paintings on the square-shaped canvases that were in the size of 19 cm by 19 cm.

 

What do the images shown in 70 Grey Moons depict and what is the object that the artist has seen and depicted? The images created by the artist and the depicted object can be identical, but certain aberration might exist in between. Obvious is that what the artist has depicted is neither the Moon as an astronomical object nor the Moon in her photos.

It also stands in a different context than the result of drawing the Moon directly, which is created after seeing it with her own eyes and capturing its image by using a camera as a tool. Then, does the artist depict the scenery with the Moon that she saw by herself as the object of her work? Indeed, it seems that neither the scenery the artist saw with her eyes nor the photos she captured contain anything to be taken as a fiducial point. If the artist intended to depict what she had seen and transfer it to the canvas, she needed not to ‘white out’ the Moon, which has lost the details by the over-exposure, with empty space on the canvas without paints (she could observe the surface of the Moon with her naked eyes). Since I saw that photos of the Moon put up on the easel at the artist’s studio were very low in their quality and resolution, it is also difficult to assume that the artist drew her paintings merely out of the photos of the Moon that she had taken. The photos seemed to be close to certain patterns or abstracted figures. Then, the object depicted by the artist may not be conveying the experience that can be divided by the unit of ‘scenes’ in terms of its visual dimension. Wouldn’t it be the case that the experience and images, which the artist had gone through during the 13-minute period of taking photos of the Moon, became the foundation of her work? Aren’t the photos be merely produced as by-products of that process? If the expressive object of Im’s work is the very continuous instant in which the images shaped by the lens of a smartphone’s camera capturing the full moon were swaying on the LCD screen - the timeline of the LCD screen during the 13-minute period, the 70 photos remain as an index that captures the very timeline. In this context, the series 70 Grey Moons should be seen as a singular work composed of 70 canvases, not as a group of 70 paintings that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images they refer to. Of course, this is not a confident affirmation. Even if one acquires an explicit explanation from the artist, I do not think that it should be the only way to observe and appreciate this work. Rather, what makes this work intriguing is the very abstractness that leads the viewers to develop different speculations and imaginations, which reminds of us the fact that there are times when how the Moon looks to us and how we interpret it are more important than the existence of the Moon as an object.

 

달이라는 대상(또는 피사체)에 관하여

 

글 이기원

 

달은 지구 주위를 도는 위성이자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다. 달의 지름은 약 3,500킬로미터로 지구의 약 4분의 1, 태양의 약 400분의 1쯤 된다고 한다. 우주에서 달은 태양에 비하면 비교 자체가 무의미한 아주 작은 위성일 뿐이다. 하지만 (적어도 심정적으로는) 우리에게 달은 태양과 크게 다르지 않은 풍경으로 존재한다. 태양이 뜨고 지는 시간이 ‘하루’를 지칭하는 기준으로 자리 잡은 것처럼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시간 역시 하나의 기준으로 작동한다는 걸 떠올려 보자.

 

태양과 달이 물리적으로 엄청난 질량 차이가 있음에도 개념적으로 동등한 위상을 갖게 된 이유는 어쩌면 이들이 우리의 눈에 비슷한 크기로 보이기 때문은 아닐까? 태양은 달과 비교가 무의미할 만큼 크지만 또 그만큼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에 실제보다 훨씬 작게 보인다. 반면 달은 지구보다 작지만 태양보다는 훨씬 가까이에 있어서 맨눈으로는 그리 작아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태양과 달의 시지름(지구에서 본 천체의 겉보기 지름)은 비슷하고, 이로 인해 지구에서는 달이 태양을 가리는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 사실 개기일식은 손바닥으로 태양을 가리는 것과 다를 바 없지만 우리 눈에 무엇이 어떻게 보이느냐는 때로 실체보다 선행한다.

 

임지현이 이번 전시 에서 선보이는 달 그림 ‘70 Grey Moons’ 시리즈는 지난 3월 작가가 작업실에서 집으로 가는 13분간 찍은 72장의 보름달 사진에서 출발한다. 이 사진은 달을 잘 찍었다고는 할 수 없는, 여느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은 달 사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달은 생각보다 밝은 피사체이기 때문에 조리개를 조이거나 되도록 빠른 셔터스피드로 찍어야 한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기본 카메라 앱에서는 이를 조절하기 어렵다. 노출을 어둡게 잡는다고 하더라도 스마트폰 카메라로 뉴스나 백과사전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달을 찍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이러한 이유로 임지현이 찍은 72장의 사진 속 달은 노출 오버로 하얗게 ‘화이트 아웃’되었고, 주변의 구름 역시 하나의 얼룩이나 패턴 같은 모습으로 찍혔다. 이 사진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달을 묘사하기 위한 도구’로는 거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 사실 작가가 정말 달을 묘사하고 싶었다면 직접 찍은 사진이 아니라 백과사전에 실린 달 사진을 참고하는 편이 훨씬 수월했을지도 모른다(직접 찍은 달과 백과사전에 실린 달은 본질적으로 같은 대상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작가는 자신이 찍은 사진에서 달을 중심으로 주변부를 잘라 내고 A4 용지에 사진 8장이 들어가도록 크기를 가로7센티미터로 축소하여 사무용 프린터로 출력한다. 이렇게 사진 속 달과 실제 달의 링크는 더욱 느슨해진다. 작가는 크기가 작아지고 해상도도 낮아져서 참고 자료로서의 기능마저도 거의 상실한 듯한 사진을 이젤에 붙여 두고 19센티미터짜리 정방형 캔버스에 그림을 그렸다.

 

‘70 Grey Moons’ 시리즈가 보여 주는 이미지와 임지현이 보고 그린 대상은 무엇일까? 그 이미지와 대상은 서로 일치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는 어떤 오차가 존재할 수도 있다. 확실한 건 그 대상이 천체로서의 달이나 달을 찍은 사진 그 자체는 아니라는 점이다. 이는 자신의 눈으로 본 달을 사진이라는 도구로 찍어서 보고 그린 결과물과도 다른 맥락을 갖는다. 그렇다면 작가가 자신의 눈으로 본 달이 있는 풍경 그 자체일까? 사실 기준점은 눈으로 본 풍경에도 사진에도 없는 것 같다. 눈으로 본 것을 캔버스에 옮긴다면 굳이 노출 오버로 디테일이 사라진 달을 물감이 묻지 않은 여백으로 화이트 아웃 시키진 않았을 것이다(맨눈으로 달을 볼 때는 달의 무늬를 관측할 수 있으므로). 아니면 사진을 보고 그렸다고 가정하기에 그의 작업실에서 목격한 이젤에 붙여 둔 사진은 화질도 해상도도 너무 낮아서 사진이라기보다는 어떤 무늬나 추상화된 형상에 가까웠다. 그렇다면 이 작품의 대상은 시각적인 차원에서 어떤 ‘장면’ 단위로 구분되는 경험이 아닐 수도 있다. 어쩌면 달 사진을 찍는 13분 동안 작가를 스쳐 간 경험과 심상이 작업의 토대가 되고, 사진은 그저 이 과정의 부산물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보름달을 찍으면서 카메라 렌즈를 거쳐 만들어진 이미지가 액정화면에서 일렁였던 연속적인 순간 자체, 그러니까 13분 동안 액정화면의 타임라인이 작품이 표현하는 대상이라고 한다면 여기서 70여 장의 사진은 이 타임라인이 캡처된 지표(index)로 남는다. 이런 맥락에서 ‘70 Grey Moons’ 시리즈는 사진과 그림이 일대일로 대응하는 70개의 작품이 아니라, 70개의 캔버스로 구성된 하나의 작품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마저도 확실친 않다. 설령 작가에게 명쾌한 답을 받아 낸다 하더라도 그것이 이 작품을 감상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런저런 추측과 상상을 하게 만드는 이 모호함 자체가 시리즈를 흥미롭게 만드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마치 달이라는 대상 그 자체보다 달이 우리에게 어떤 모습으로 보이고 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더 중요할 때가 있는 것처럼.

 

Translated by Jaeyong Park

 

2018